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작은 상처에 연고 바르면 안 되는 이유

by 미리보구 2022. 4. 19.

종이에 베였거나 물집이 생겼다고 무턱대고 연고를 바르면 안 됩니다. 나중에 항생제 내성이 생겨 효과가 떨어질 수 있어서다 연고 자주 사용하면 세균들 내성 생긴다

당연한 이야기입니다. 후시딘, 복합 마데카솔과 같은 연고엔 항생제 성분이 들어있습니다. 겐타마이신, 퓨시드산, 무피로신 등의 항생제 성분은 상처 내외부의 세균 번식을 억제해 2차 감염을 막는입니다. 그러나 자주 사용하면 항생제에 반응하지 않은 내성균인 비감수성균이 증식해 효과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가벼운 상처는 씻은 뒤 밴드 정도만

상처는 자연적으로 재생합니다. 피부의 상피세포가 상처 부분으로 이동해 분열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작은 상처는 물이나 비누로 씻은 뒤 밴드만 붙여주면 됩니다. 간혹 건조해야 상처 회복이 빠르다고 여기는 사람이 있는데 이는 잘못된 사실입니다. 결국, 피부 재생은 상피세포의 분열에 의한 것인데 상피세포가 상처 부위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습한 환경이 필요합니다. 딱지가 생기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딱지는 외부 세균으로부터 상처를 보호하고 상처 내부의 습기를 유지합니다.

항생제 연고는 감염성이거나 깊고 넓은 상처에 조금씩 사용

흉터는 피부의 재생 기간이 길수록 심해집니다. 팔꿈치나 무릎 부분에 흉터가 자주 남는 이유는 끊임없이 움직이는 부위라 상처 회복이 더뎌서입니다. 상처를 빠르게 회복시키려면 습윤 밴드를 붙여서 상처를 촉촉하게 유지해주는 게 좋습니다. 온도 역시 중요합니다. 28도 아래에선 세포 분열 속도가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에 상처 부위는 차갑게 하지 않는 게 좋습니다.

2022.04.14 - [분류 전체보기] - '이 질환' 많이 겪을수록 치매 잘 걸려

 

'이 질환' 많이 겪을수록 치매 잘 걸려

뇌졸중 발병 횟수와 많고, 그 중증도가 높을수록 치매에 걸릴 위험이 커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스라엘 텔아비브대 노화연구소 실비아 코톤 교수 연구팀은 1987년부터 2019년까지 미국

hulu7.newsmap.co.kr

 

반응형

댓글